수확
❍ (콩) 잎이 누렇게 되면 수확하는데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하였을 때 수확하도록 함
– 수확시기는 개화 후 60일경이고 논 이용 콩 재배는 5~10일 늦음
– 수확시기를 놓치면 탈립에 의한 손실과 미라병, 자반병 발생으로 품질이 떨어짐
– 소요 시간과 손실률을 줄이기 위한 콤바인 수확적기는 성숙 후 10일경, 수분함량 18~20% 정도에 실시함
– 콤바인 수확 시 적기보다 빠르면 건조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미숙종자가 많아지고, 늦으면 자연 상태에서 꼬투리가 터져 손실이 증가함
– 탈곡한 콩은 정선기 등으로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 14% 이하로 건조 후 서늘한 장소에 저장하며 장기저장 시 5℃ 이하 상대습도 60% 내외로 유지시킴
❍ (가을감자) 잎, 줄기가 고사된 다음 수확하는데, 0℃ 이하로 내려가면 동해의 우려가 있어 일기예보를 확인하여 수확시기 결정함
– 수확한 감자는 온도를 12~15℃, 습도 80~85%에 1주일 정도 예비저장으로 상처를 치유
– 본 저장은 온도 3~4℃, 습도 80~85%에 보관함
❍ (수수·조) 수수·조 수확은 일반적으로 10월 상중순이며, 수수는 종피 색이 붉게 변하고 씨눈 뒷면이 검은 층의 둥근 점이 나타나며 수분함량이 18~20%일 때가 수확적기임
– 콤바인 수확은 종실의 수분함량이 13%까지 낮아질 때 하는 것이 좋음
– 조는 줄기이삭이 노랗게 변할 때 수확. 수확 후 도정은 미도정립과 싸라기 발생을 줄이고 완전립 비율을 높이는데 적정수분은 9~12%가 좋음
– 품질유지를 위해 저장온도 15℃, 저장습도 50% 이하로 저장하면 좋음
❍ (고구마) 고구마의 수량은 9월 하순까지 거의 결정이 되고 그 이후의 수량 증가는 미미하므로 10월 상중순까지 수확해야 함
– 저장을 하거나 전분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10월 이후 전분가가 높은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음
– 고구마는 10℃ 이하의 낮은 온도에 접하면 저장성이나 싹트는 힘이 낮아지므로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 작업 완료함
– 아물이(큐어링)처리는 수확 후 1주일 이내에 온도 30~33℃, 습도 90~95%에서 4일 정도 실시하고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기가 잘되는 창고에서 10~15일간 예비저장 시킴
보리·밀 파종
❍ 보리·밀 등 맥류는 월동 전에 본 잎 5~6매가 확보되어야 안전 월동이 가능하므로 지역별로 적기에 파종하도록 함
❍ 맥류의 파종기는 북부지역은 9월 하순~10월 상순, 중부지역 10월 상중순, 남부지역은 10월 중하순, 제주도는 11월 상순임
< 지역별 맥류 파종적기 >
지 역 구 분 | 1월 최저기온 평균(℃) | 평 야 지 (표고100m이하) | 중 간 지 (표고100~200m) | |
북부 | 수원-대전-영주-강릉선 | -8.0 ~ -9.0 | 10. 1.~10.10. | 9.25.~10. 5. |
이북 | -7.0 ~ -8.0 | 10. 5.~10.15. | 10. 1.~10.10. | |
중부 | 익산-순창-합천-청도-삼척선 | -6.1 ~ -7.0 | 10.10.~10.20. | 10. 5.~10.15. |
이북 | -5.1 ~ -6.0 | 10.12.~10.25. | 10. 7.~10.17. | |
남부 | 익산-순창-합천-청도-삼척선 | -3.1 ~ -5.0 | 10.15.~10.30. | 10.10.~10.20. |
이남 | -3.0 이상 | 10.20.~11. 5. | 10.15.~10.25. |
* 맥종별 재배한계지 1월 최저기온 평균: (겉보리·밀) -10℃, (쌀보리) -8℃, (맥주보리) -4℃
❍ 보리․밀의 적정 파종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만파할 때는 증량 파종함
– 보리는 맥종별, 지역별, 논밭별 재배양식에 따라 10a당 13~20㎏이고 세조파 재배는 10~14㎏을 파종
– 밀은 10a당 휴립광산파는 16~20㎏이고 세조파 재배는 10~13㎏을 파종
❍ 파종 전에 반드시 종자소독을 하여 종자로 전염되는 이삭마름병, 붉은곰팡이병, 깜부기병, 줄무늬병 등 병해를 예방함
❍ 보리 파종 후 3~4일 이내에 토양처리 제초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방제하도록 함
유채 파종
❍ 파종적기는 남부지역 10월 상순, 제주도는 10월 중순이며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수량이 감소됨
❍ 파종량은 전북, 전남, 경남, 제주지역 밭 재배는 1~1.5kg/10a이고 전북, 전남, 경남지역 논 재배는 2~3kg/10a가 다수확 재배에 적합함
❍ 다수확 재배를 위해서는 균일하게 파종하여 입모를 고르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
❍ 답리작 재배는 휴립광산파(150×120cm), 전면전층파, 트랙터 부착 평면줄뿌림(25×5cm), 트랙터 부착 휴립줄뿌림(150×120cm, 6열 20×5cm)으로 파종함
* 자료제공 : 국립식량과학원 안승현 연구사(063-238-53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