밭작물농사정보 2021.10.25~10.31

보리·밀 파종

❍ 보리·밀은 월동 전에 본 잎 5~6매가 확보되어야 안전 월동이 가능하므로 지역별로 적기에 파종하도록 함

❍ 맥류의 파종시기는 남부지역은 10월 중하순, 제주도는 11월 상중순임

– 추위에 가장 약한 시기가 이유기(주간엽수 3~4개)이므로 늦게 파종하면 얼어 죽기 쉬우며 분얼 전개가 늦어져 유효경수가 적어 수량이 낮아짐

< 지역별 맥류 파종적기 >

지 역 구 분

1월 최저기온 평균()

평 야 지

(표고 100m 이하)

중 간 지

(표고 100200m)

남부

익산-순창-합천-청도-삼척선

-3.1 ~ -5.0

10.15.~10.30.

10.10.~10.20.

이남

-3.0 이상

10.20.~11. 5.

10.15.~10.25.

제주

도내 전역

11. 1.~11.15.

10.25.~11.10.

* 맥종별 재배한계지 1월 최저기온 평균: (겉보리·밀) -10℃, (쌀보리) -8℃, (맥주보리) -4℃

❍ 자가 채종을 오랫동안 계속하면 다른 품종이 혼입돼 수량이 떨어지므로 적어도 4년 주기로 종자를 갱신함

❍ 보리·밀의 충실한 종자 파종을 위해 탈망기 및 정선체를 이용하여 철저히 정선함

❍ 파종 전에 반드시 보리․밀 종자를 소독하여 종자로 전염되는 이삭마름병, 붉은곰팡이병, 깜부기병, 줄무늬병 등 병해를 예방함

– 보리 종자소독 방법은 10a당 종자 13~16kg에 카복신․티람분제 40g 비율로 소독약이 종자표면에 고루 묻도록 처리(종자 1kg당 2.5g)하며 소독한 종자는 식용 및 사료용으로 금지함

❍ 보리․밀의 적정 파종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파종시기가 늦어졌을 경우에는 종자량을 기준량의 20~30% 증량 파종하고 밑거름으로 인산, 가리를 증시함

– 종자를 적게 뿌리면 이삭은 크게 되지만 이삭 수가 부족하고, 많이 뿌리면 이삭 수는 증가하지만 이삭이 적게 되는 동시에 도복이나 병이 발생되기 쉬움

– 보리는 맥종별, 지역별, 논․밭별 재배양식에 따라 10a당 13~20㎏이고 세조파 재배는 10~14㎏을 파종함

– 밀은 10a당 휴립광산파는 16~20㎏이고 세조파 재배는 10~13㎏을 파종하며 품종의 초형에 따라 이랑 너비를 조절함

❍ 정밀 파종 작업으로 균일하게 출현시키고 입모를 고르게 하기 위해 파종 깊이는 2.5~3cm 정도가 되도록 흙덮기를 해줌

❍ 보리를 파종할 때 휴립 줄뿌림 포장은 배수로의 깊이를 30㎝ 이상 깊게 해주어 습해를 받지 않도록 함

❍ 보리 파종 후 3~4일 이내에 토양처리 제초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방제하도록 함

콩·감자

() 탈곡한 콩은 정선기 등으로 이물질 제거 후 수분함량을 14% 이하로 건조하고 서늘한 장소에 저장하며 장기저장 시 온도를 5℃ 이하, 상대습도 60% 내외로 유지시킴

(감자) 통풍이 잘 되는 창고 또는 그늘 등에서 예비저장 후 이용목적에 맞게 적정 저장온도에서 저장함

– 수확한 감자는 온도 12~15℃, 습도 80~85%에 1주일 정도 예비저장으로 상처를 치유함

– 본 저장은 온도 3~4℃, 습도 80~85%에 보관함

 

* 자료제공 : 국립식량과학원 안승현 연구사(063-238-5378)

Related Posts

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. Press ESC to cancel.

Back To Top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