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수농사정보 2021.11.1~11.7

수확 방법

❍ 과일 수확시기가 빠르면 저장력은 좋으나 맛이 떨어지고 수확시기가 늦으면 맛은 좋으나 쉽게 물러짐

❍ 햇볕이 잘 드는 곳의 과일이 먼저 익으므로 3∼4회 나누어 수확함

❍ 수확 시 내년에 필 꽃눈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

❍ 비가 올 때는 과실이 마른 2∼3일 후에 수확

❍ 수확 상자를 옮길 때 흔들림으로 눌림 증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

❍ 과종별 수확 방법

– 사과 : 아래쪽에서 위로 젖혀서 수확하며 꼭지에 의해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

– 단감 : 열매꼭지와 꽃 떨어진 자리의 날카로운 주두 흔적을 수확 가위로 잘라냄

사과 (후지)

❍ 수확시기는 착색된 과실이 80% 이상 나무 전체에 고루 분포할 때나 후지 품종의 경우 만개 후 180일에 도달하는 시기가 적기임

❍ 수확은 장기저장용 사과는 단기저장용이나 즉시 판매용보다 다소 일찍 수확함

– 후지의 경우 장기저장용은 10월 20일~25일경에 수확하고 단기저장용이나 즉시 판매용은 10월 30일~11월 5일경에 수확

단감 (부유)

수확

❍ 부유 품종은 11월 상순부터 수확시기임

❍ 수확기가 되더라도 비대, 착색, 성숙이 진행되고 있어 수확기의 판정이 어려움

❍ 생과로 출하할 경우 컬러차트 색도가 과정부(주두부) 6.0(등적색), 과저부(꼭지부) 5.0(등황색) 정도에서 수확

❍ 저장할 단감은 컬러차트 색도가 과정부(주두부) 5.0, 과저부(꼭지부) 4.0 정도일 때 수확하여 저장

단감 성숙도표 판정지표 (품종 : 부유)

색도

당도(°Bx)

경도(N/5)

3.5

13.7

23.1

4.0

14.5

22.4

5.0

15.5

21.7

6.0

16.2

20.2

7.0

17.7

15.7

‘태추’ (컬러차트 : 3.5)

단감 색도계

‘부유’(칼라차트 : 5)

❍ 서리피해 염려가 없다면 수확시기를 늦출수록 과실의 착색과 비대가 좋아 품질이 양호해짐

– 수확을 늦출수록 꼭지들림과 발생이 심한 과수원이 있는데 토양수분의 변화가 심하거나 착과량 부족이 원인인 경우가 많음

– 이러한 과수원은 꼭지들림이 발생하기 전 적기에 수확

– 수확 직전 계속 관수를 할 경우 과실 비대는 촉진되지만 착색과 당도가 나빠지고 열과, 꼭지들림과 발생도 많아지기 때문에 가능하면 11월 들어서는 관수 중지

❍ 성숙기에 토양수분이 부족할 경우 과실비대가 적어지고, 수확기까지 과다할 때는 과실은 커지지만 성숙이 늦어져 당도와 착색이 불량해지기 쉬움

– 성숙기에 과원 내 습도가 높으면 흑변과 발생이 많아지므로 수확 전 15~20일부터는 토양수분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함

단감 주요 품종의 숙기

품종

개화 후 성숙소요일수

성숙기

과실무게(g)

당도(°Bx)

서촌조생

120

9 하순

200

15.0

상서조생

130~140

10 상순

230~250

15.0

차 랑

150

10 하순

210~250

16.0

부 유

155~160

10 하순~11 상순

210~220

15.0~16.0

* 자료제공 :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박환규 지도사(063-238-6432)

Related Posts

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. Press ESC to cancel.

Back To Top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